카테고리 없음

왕방산---일죽

일죽 산사람.일죽 김 양래.요셉.아가페. 2009. 11. 24. 02:08

왕방산위치 :
경기도 포천시 포천읍 - 동두천시 경계
왕방산은 서울에서 의정부, 포천을 지나 철원, 김화로 이어지는 43번 도로가에 솟아 있는 산이며, 한북정맥의 지맥이랄 수 있는 천보산맥의 한 봉우리이다. 축석령 부근 한북정맥에서 가지를 쳐 포천방향으로 북진하기 시작하는 이 산맥은 회암사가 바라보이는 회암령을 거쳐 해룡산(661m), 왕방산(737m), 국사봉(754m), 소요산(532m), 종현산(589m)까지 이어지다가 한탄강으로 합류하는 영평천에 막혀 맥을 다한다.

 
왕방산의 유래 :
포천시의 진산으로 불려온 왕방산(737m)은 포천읍 서쪽에 우뚝 솟아있는 산이다. 신라 헌 강왕 3년(872)경 도산국사가 이 곳에 머무르고 있을 때 국왕이 친히 행차, 격려하였다 해서 왕방산이라 불리어졌고, 도선국사가 기거했던 절을 왕방사라 했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그 절터에 지금의 보덕사가 복원되었다. 왕방산은 광주산맥 서쪽의 지맥인 천보산맥의 북단에 자리잡고 있는 산이다. 왕방산의 맑은 물이 모여 호병골계곡을 만들었다.

공익캠페인 안녕하세요^^ 내가먼저 ☞솔모루넷

보덕사(왕방사) :
보덕사는 울창한 숲속에 위치한 아담하고 호젓한 산사이다. 왕방사터에 절을 중창(1947년)하여 오늘에 이른 것이 보덕사이다. 왕방산은 신라말 도선국사가 이곳 절에서 정진하고 있을 때 왕이 방문하였다는 왕방사라는 절에서 산명이 유래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깊이울유원지 ☞ 자세히보기
천보산종주코스 ☞ 자세히보기
 
왕방산산행기 :

소나무와 잡목이 우거진 원시림의 왕방산 능선
경기도 포천의 이 왕방산은 일반인에게 공개된지 얼마 안되는 금단의 산이었다. 왕방산이 잘 알려진 것은 몇해 전에 교통방송에서 잣 술을 광고하면서부터고, 산이름은 왕방사(현재는 보덕사)라는 절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란 설 등 여러가지가 있다. 해발 737m로 제법 높은 한북정맥의 지맥에 속한다. 여기를 쉽게 찾으려면 의정부에서 송우리로 향하다가ㅡ 왼편으로 우뚝 솟은 큰산이 보인다. 대진대학교 교정 뒷산이 바로 왕방산이다. 산세가 완만하며, 육산이라 그리 험하지 않고 소나무, 잣나무,이깔나무, 잡목,칡덩쿨이 뒤섞여 원시림을 방불케 한다. 등산코스는 3,4개가 있으며 종주시간은 4시간 정도 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