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숲 해설 프로그램
북한산 숲 체험 해설 계획서(안)
1.일시: 2009년 4월 9일(토) 오전 10시--12시
2.장소: 북한산 숲 체험 제1코스(형제봉)
3.대상: 일반인 20명
1. 인사말
안녕하세요.... 저는 숲해설가 김양래입니다.
오늘은 날씨가 아주 좋군요. 이렇게 화창한 날에 여러분을 만나
북한산 자락의 형제봉 코스를 안내하게 되어 반갑습니다.
앞으로 2시간 동안 여러분을 모시고 즐거운 숲 여행을 가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북한산은 여러분이 잘 알다시피 세계에서도 보기 드문 한국의 명산입니다.
해발 834미터의 높이로 서울 시내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조망이 아주 뛰어난 산입니다. 요즘은 1년에 600만 명의 시민이 올라 기네스북에 오른 산이기도 합니다.
오늘 일정은 형제봉 제1코스를 가게 되는데 모두 10군데 포인트를 돌며
수목해설과 자연체험, 만들기 등으로 자연을 이해하고 사랑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자--그러면 오른쪽으로 같이 올라갑시다.
한가지 주의사항을 말씀드리면 탐방로를 따라 정해진 길로만 다니고 나무를 꺾거나 꽃을 건드리지 말고 있는 그대로 관찰하여주시고 잡담이나 소리를 지르지 마시기 바랍니다.
제1포인트--싸리나무(콩과)
싸리나무는 조록싸리와 참싸리가 있는데 이곳은 참싸리 군락입니다.
(싸리나무의 특징과 용도 설명)
제2포인트--리기다 소나무(소나무과)
소나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나무인데 이것은 외래종으로 수피가 적갈색이며 수피에 털같이 생긴 맹아가 주렁주렁 달립니다.
(솔방울을 보여주며 토종 소나무와 차이점, 잣나무와 비교 설명)
제3포인트--졸참나무(참나무과)
참나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수종이며 6형제가 있습니다. 참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는 우리가 먹는 밤나무도 있습니다.(종류와 구분법 소개)
퀴즈1--도토리가 많이 열리는 해는 벼농사가 안 된다고 합니다. 왜 그럴까요?)
제4포인트--산초나무(운향과)
산초나무는 후추 대신에 쓰는 향료로 추어탕을 먹을 때 넣으면 향긋한 냄새가 납니다. 시골집 울타리에 많이 심은 것은 산초가 모기를 쫒아낸다고 합니다. 그만큼 냄새가 독하다는 것이지요.(초피나무와 구분법 소개)
제5포인트--산벚나무(장미과)
봄이 오면 신부가 화사한 면사포를 쓴 모양으로 분홍색으로 아름답지요. 우리나라가 원산지인데 일본 꽃으로 알고 있습니다.(잎과 잎맥의 특징 소개)
제6포인트--붉나무(옻나무과)
붉나무는 가을에 가장 먼저 빨갛게 단풍이 듭니다. ‘소금나무’라고도 하는데 열매를 따서 먹어보면 짠 맛이 나서 옛날에는 화전민들은 이것을 빻아서 간수로 이용했다고 합니다.( 옻나무와 구분법 소개)
제7코스--소나무 숲(전망대에서 휴식)
바위에 앉아서 잠시 쉬며---소나무재선충의 피해가 심한데 지금은 방제주사와 간벌로 많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소나무와 관련한 박희진 시인의 시를 낭독, 시간이 나면 아래를 내려다보며 숲의 천이에 대해 설명)
제8코스--팥배나무(장미과)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장미과 나무의 특징을 설명하고 배꽃처럼 하냔 꽃을 감상합니다. (왜 팥배나무라고 하는가 이름을 설명)
제9코스--북한산의 주요 수종(약수터에서)
북한산에 자생하는 수종과 인공림을 소개함. 북한산의 크기와 넓이, 국립공원의 탐방로 안내.
제10코스--쪽동백나무(목걸이 만들기 시연)
쪽동백나무는 나뭇잎이 여자의 머리에 쪽을 진 것 처럼 가지가 갈라진 모양에서 나온 이름입니다. 나무를 자르면 나이테가 없이 하얀 색입니다. 이것으로 목걸이를 만들어 봅시다.
준비물; 메달 모양 자른 통나무,사포, 끈, 네임펜 등
마무리 시간(집결지)
오늘 공부한 나무 숲의 특징과 중요성을 다시 상기시키고 지구온난화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자연을 아끼고 사랑하며 후손들에게 아름다운 자연을 물려줄 의무를 강조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