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숲 해설가의 임무---1

일죽 산사람.일죽 김 양래.요셉.아가페. 2008. 5. 18. 18:42

이것은 <한국해설연합회 (회장 박상규)> 홈에서 퍼온 것입니다.

 

국제적인 해설자 교류를 위해 환경부에 등록된 비영리법인 단체입니다.

현재 아시아 해설 대회를 준비중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들은 어떻게 해설에 임하는지 참고가 될 것입니다.

 

배봉산 숲공부와 해설에 필요한 자료를 여기 소개합니다.

--------------------------------------------------------

*** 해설의 정의

  해설은 주요 주제를 이용하여 참가자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이지 않게 함축된  의미를  아려주기 위해 개발된 의사소통 과정이다.


해설은 지적으로 감성적으로 그리고 육체적으로 참가자의 여가와 휴양 경험을 즐겁고 풍부하게 해주어야 한다.


해설은 다양한 환경에서 해설가와 참가자 간의 의사소통과 자연에 대한 영감과 도전 그리고 중요성을 깨달아 책임감 있는 사람이 되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해설가는 참가자들에게 적절한 유머와 위트를 사용해가며, 해설에 대한 가치와 대상(자연 등)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을 지적하며 그  방법을 자세하게 알려 줄 임무가 있다.


*** 해설의 6가지 원리

 

  가) 참가자의 내면에 있는 지식을 효과적으로 묘사 할 수 없는 해설은 쓸모가 없다.

  나) 지식 정보 전달에 그치는 자세는 해설이 아니다.

  다) 해설은 모든 예술을 한데 묶는 종합적 기능을 갖는다.

  라) 해설의 주요 목표는 가르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자극시키는 것이다.

  마) 해설은 부분 보다는 전체를 표현하는데 목표를 두어야하고, 한 면 보다는 전체를 다루어야 한다.

  사) 어린이들(12살까지)을 상대로 하는 해설은 어른에 대한 해설과 섞여져서는 안 되며 접근 방식을 다르게 해야 한다.

      최선의 방법은 내용을 분리하는 것이다.


*** 훌륭한 해설을 위해서  필요한 기본적 방법들

 

 1. 유니폼 착용 - 복장이나 언어 사용 그리고 태도 또한 해설의 일부분이다.

  2. 미리 해설 장소 답사 - 장소 특색 파악, 당일은 해설 장소에 10분 정도 미리 도착        후 참가자를 기다린다.

  3.참가자를 환영, 해설에 소요될 시간과 코스 소개.

  4. 동식물, 文化 歷史資源 등 전반적인 것들을 설명한다.

  5. 능동적으로 직접적인 체험이 되도록 리드한다.

  6. 참가자들이 스스로 특별하고, 흥미 있고,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가치 있 는 것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한다.

  7. 질문에 성심껒 대답해 주며, 숲과 자연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이끌어 내도록 도와준다.

  8. 갑자기 예상하지 못한 흥미 있는 대상이 나타났다면 그것을 설명  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어야한다.

  9. 야외에서 진행함을 잊지 않고 목소리를 잘 조절한다.

 10. 다양한 보조 장비를 최대한 사용토록 한다.

 11. 전문적인 용어나 외래어 사용을 자제한다.

 12. 자연을 훼손하지 않도록 또 응급처치 준비, 지정된 노선도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 해설의 목표

 

 첫째, 해설가는 참가자들에게 현장에서 많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해설가는 참가자들이 해설가의 광범위한 지식의 정도나 깊이를 평가하기 위해 자연을 찾지 않도록 해야 한다.

  셋째, 해설가는 참가자들 보다 먼저 대상이 되는 자연 현장을 보고 느껴서  그것을 참가자들에게 전달해 주는 중계자임을 명심해야 한다.

  넷째, 해설가는 사전에 해설 현장에 대해 충분히 파악해야 하며 그 자연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주제를 선정하고 속성을 정리 한 후 해설 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한다.

  다섯째, 해설가가 어떤 특정한 사물의 특정한 내용에 몰입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

                            

*** 해설의 목적

 

자연해설 현장, 담당 행정기관, 방문객 등과의 연계성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해설자의 목적을 분명하게 설정한다.


1.  해설 현장과의 연계성은 해설 장소에서 그 환경을 소중히 생각 하도록 해설함으로써 참가자들이 소중히 생각 할 수 있도록 하고 적절한  탐방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2.  참가자들이 해설 프로그램을 통해서 보다 더 그 해설 자원의  관리와 보전 활동에 참가 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담당 주무 행정기관의 홍보활동(PR)도 겸한다.

3. 참가자들이 해설 프로그램을 통해서 그 환경에 대한 감수성을 자극하고 계발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또한 주위의 문화와 역사적 지원에 대한 이해는 물론 여가와 쉼터를 적극 활용하도록 유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