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에세이2

2011. 9. 27. 04:31카테고리 없음

음식 에세이 2


        믿거나 말거나 건강상식

                     (Believe it or Not)


오늘 제목을 이렇게 한 것은 내가 지금 부엌에서 막 김치찌개를

끓이고 들어와서 컴퓨터에 앉아 생각난 게 있다. 누구 말이 맞나?

우리가 흔히 화젯거리로 주고받는 음식의 <가려먹기>에 대한

 편견과 자기 입맛에 맞는다, 뭐가 제일 좋다고  떠들며 혼자서

아는 체하는 건강지식의 거짓과 진실이 무언지 헷갈리기 때문이다.

 

 

canada breakfast  food

 dinner meeting food 


 집안 내력으로 흔히 어렸을 적에 먹은 음식이 자기 입에 맞는 것

인데 무조건 원리 원칙을 주장하고 일방적으로 상대를 가르치려 한다.

그러나 이런 세상에 떠도는 상식은 실제로 건강에 별 도움이 안 된다.


 이곳 캐나다 <주간한국>에 연재되는 잘못된 건강상식을 봐도 그렇다.

 무시해도 좋은 건강 상식 4가지에는 1. 하루에 반드시 물 8컵 이상을

마셔라 2.과일 주스는 사먹지 말라 3. 저녁에는 가능한 밥을 먹지 말라.

4.외식할 때 절반은 먹고 나머지는 포장해서 가지고 오라... 등이다.

 물은 필요한 정도로 적당히 공급해주라는 것이지 꼭 그 양을 정해서

마시라는 게 아니다. 주스나 커피, 녹차, 청량음료도 물이므로 소변을

보아서 농축되게 나오면 조금 더 마시면 된다. 간단하다.

 

과일음료는 설탕 덩어리이므로 먹지 말라보다는 아무래도 생과일보다

설탕이 더 들어가므로 과음하지 말라는 이야기다.

또 저녁 7시 이후에 먹는 것만 살이 붙는 게 아니고 하루 영양

섭취량이 넘치면 살이 된다는 말이지 음식점에 가지 않거나 반만 먹으면

 다이어트가 된다고 믿는 것은 어리석은 생각이다. 대신 간단하게 야채나

 과일 등 간식거리로 배를 채우면 된다.  어려울 게 없다.


그밖에 수도 없이 많지만 한 가지 더 붙이면 아침을 먹는 게 좋은가 하는

문제다. 의사들과 영양전문가, 학교 선생들은 꼭 아침밥을 먹어야 뇌의 활동에

도움이 되며 오전 중에 쌓이는 젖산의 생성을 막아주므로 아침을 먹어야

학습능률이 오르며 사고력, 집중력이 좋아지고 대인관계도 원만하게 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반면 별 의미가 없다는 이론이 있다. 일본의 <이시하라

 유미> 박사는 아침을 먹으면  소화를 시키기 위해 위에 혈액이 더 많이 집중되

어 뇌와 손, 발 등 말초신경이 둔해지며 집중력이 부족하고 피로감이 심해진다고

한다. 먹기 싫은 밥을 억지로 먹을 필요는 없다는 것이며 주스나 당근, 사과 등

을 먹어도 되며 혈액 속에 노폐물을 걸러주는 시간을 제공해주어 더 좋다는

것이다. 아침식사 때문에 늦게 학교 간다고 야단만 칠 게 아니다.

초, 중, 고 학생을 둔 부모들이 가장 힘든 식사문제에 대한 내 소견이다.